대학원공통
문화유산정책론
- 문화유산 관리정책, 행정의 제반 영역 대상
- 문화유산의 지정 및 정비⋅복원, 활용의 절차와 관리
- 현행 문화유산 정책의 문제점, 제도적 보완, 범위와 대상의 변화 모색
문화유산활용론
-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를 넘어 활용을 위한 문화유산자원화 방안 모색
- 기존 문화유산 활용정책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진단
- 성공적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정책적 대안 탐구
- 문화유산 자원활용 정책의 긍정적·부정적 사례연구 토의
- 문화유산활용의 국외사례 연구 및 활용 정책제안
문화유산보존기술론
- 문화유산 보존기술의 역사, 이론,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학습
- 문화유산 재질의 다양성과 특성에 대한 전반적 이해
- 유기 및 무기재질별 문화유산의 연구를 위한 과학적 접근법과 활용법
- 문화유산 보존기술의 사례 분석과 첨단과학기술의 적용가능성 토론
한국문화유산특강
- 문화유산정책, 보존, 관리의 행정책임자 초빙(통합강의)
- 초청특강, 관련 석학의 초빙강좌
- 문화유산의 의미 재발견, 문화유산 보존관리 필요성
전공과목
문화유산과학연구방법론
- 문화유산 수리복원의 과학기술적 연구에 대한 발전과정과 이론
- 문화유산 구성재질과 복원재료의 자연과학적 특성 분석법의 이해
- 문화유산의 물리화학적 열화과정 규명 및 과학적 진단방법
- 문화유산 보존복원연구의 학제간 접근법과 과학기술적 방법론
- 문화유산에 적용된 전통과학기술의 원리와 우수성 이해 및 활용
문화유산수리기술 특강
- 문화유산 수리기술의 필요성과 보존철학 및 기초이론 설명
- 문화유산 수리기술 체계의 이해와 적용방법론 학습
- 문화유산의 전통제작기법에 대한 이해와 보존재료의 적용기법 탐구
- 문화유산 수리 및 보수 재료(세정제, 접착제, 강화제 등)의 특성과 적용법
- 재질별(금속, 도자기, 석조 등) 문화유산의 수리기술 사례 비교분석
문화유산안전진단기술 특론
- 문화유산 보존, 수리 및 복원을 위한 비파괴 안전진단 이론과 현황
- 문화유산 손상도 평가기술 체계의 이해와 기기운용법의 실제 및 응용
- 문화유산의 물성진단 기법 습득과 초음파 측정 및 해석
- 문화유산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진단기법, 기기분석법 및 해석
- 문화유산의 지반구조 해석을 위한 탐사기술 적용방법 및 해석기법
세계유산과 보존기술기행
- 세계유산의 진정성, 의미와 가치, 관리방법 및 과학적 보존현황 탐구
- 세계 각국의 세계유산 보존기술 현장 답사자료를 중심으로 강의 및 토론
- 한국문화유산의 보존, 수리, 복원과 관련이 있는 세계유산의 복원사례를 재해석하여 한국적 적용방법론 모색
- 세계유산 선정 이후의 보존과학적 관리 실태 연구 및 학습
- 아테네, 베니스 헌장 등 국제협약에 따른 세계유산 보존기술 사례 학습
문화유산보존환경특론
- 문화유산보존을 위한 자연적 및 인위적 환경영향 평가, 측정 및 진단방법
- 문화유산의 환경요소에 의한 열화 원인, 속도 및 과정 분석
- 박물관 및 옥외문화유산의 보존환경 최적요건 분석 및 제어방안 연구
- 보존환경관리를 통한 예방보존의 이론 및 과학기술적 방법 이해
문화유산예방보존기술론
- 문화유산의 과학적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및 예방보존기술 종류와 이론
- 재질별 문화유산의 수리와 복원에 따른 유지(감시)기술 방법론 학습
- 건축문화유산의 거동모니터링 개념과 적용기법 및 사례 비교분석
- 3차원 영상분석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모니터링과 예방보존기술 구현
- 세계유산등재 전후의 보존관리를 위한 과학적 모니터링 기술체계 학습
문화원형복원기술실습
- 문화원형복원기술의 기초이론과 종류 및 현황
- 문화유산의 과학적 복원 방법 및 적용사례 분석 비교
- 3차원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디지털복원과 응용
- 문화유산의 보존, 복원 및 복제기술 실습과 현장학습
- 문화유산의 디지털 콘텐츠와 문화상품 개발 및 실습
문화유산보존기술철학
문작성지도
- 논문 주제의 선정
- 논문 작성에 대한 조언
- 논문 발표 및 토론
- 각 기관 별 멘토(유경험자)제 운영
- 부서별, 기관별, 직급별 크로스 체크 및 벤치마킹 가능